현대측기(주)

측량기 종합수리

  •  측량기AS 1 

    측량기AS 1

    • 1. 원형기포관 기계를 수평으로 회전시켰을 때, 360˚전주위에 원형기포관의 기포가 ○표시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조사한다.
      <<점검방법>>

      정준나사로 원형기포관의 기포를 ○표시의 중앙에 넣는다
      본체를 180˚회전시켜서 기포의 위치가 이동하는가를 점검한다.
      기포가 이동하지 않으면 정상, 이동했을 경우에는 조정한다.
      <<조정방법>>

      정준나사로 어긋난 량의 1/2을 되돌린다.
      남은 1/2의 어긋난 량을 원형 기포관조정 나사로 되돌린다.
    • 2. 자동레벨의 自動補正 기구 補正범위 내이면 기계가 기울어져도 視準선이 자동적으로 수평위치에 되돌리는 것을 조사한다.
      <<점검방법>>

      정준나사로 원형기포관의 기포를 ○표시 중앙에 넣는다
      십자선과 목표물을 보면서 視準축에 가까운 정준 나사를 왼쪽(또는 오른쪽)으로 조금 돌린다.
      정준나사를 돌린 후 십자선이 바로 원래대로 되돌아 오는 가를 점검한다.
      십자선이 되돌아 오면 정상, 되돌아 오지 않는 경우는 수리가 필요하다.
    • 3. 초첨판(십자선) 視準선이 수평인가를 조사한다.<<점검방법>>

      30-50m 떨어진 점 A·B의 거의 중앙에서 a1과 b1을 읽는다.
      점 A에서 2m정도의 위치에 기계를 설치하고 다시 a2와 b2를 읽는다.
      이 때 망원경은 점 B를 視準했던 상태로 해서 둔다.
      b2'=a2-(a1-b1)을 계산해서 b2'=b2이면 초첨판 십자선은 정상, 동등하지 않는 경우는 조정한다.
      <<조정방법>>

      조정나사 카바를 왼쪽으로 돌려서 떼어낸다.
      조정핀을 사용해서 b2'=b2가 되게끔 조정한다.
      (Ex. b2의 값이 클때는 십자선을 내린다. → 조정나사를 느슨하게 한다.)
      다시 위에서 기록한 점검항목 1과 2를 행하고 완전하게 될때까지 조정한다.

    데오도 라이트 & 광파 측거기 점검방법

    • 측량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기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장기간 보관, 운반 후 또는 사용 중 충격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경우는 반드시 점검한다. 이하에 현장에서 三脚위에서 점검, 그리고 조정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 1. 가로기포관의 점검과 조정 ※세로기포관의 경우도 같은 모양으로 행한다.

      상부고정나사를 느슨하게 해서 가로 기포관이 정준나사 A,B와 평행하게 되게끔 본체를 회전시켜 가볍게 고정한다.
      정준나사 A,B를 돌려서 가로기포관의 기포를 중앙에 넣는다.
      본체를 90˚회전시켜 정준나사 C로 가로기포 관의 기포가 중앙에 있는 가를 확인한다. 중앙에 있을 경우는 정상이다.
      중앙에서 엇갈려 있는 경우에는 엇갈린 량의 1/2를 정준나사 C로 되돌리고 나머지 1.2를 가로기포관 전체를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기포를 이동시켜 중앙에 위치하게끔 한다. 조정핀을 사용, 가로기포관을 누르고 있는 너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포는 너트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1에서 4를 몇번 반복해서 하고 어느 방향에서나 기포가 중앙에 오게끔 조정한다.
    • 2. 원형기포관의 점검과 조정 고감도의 가로 기포관의 점검·조정 후, 원형기포관의 점검·조정을 행한다.

      조정된 가로 기포관에서 본체를 정준한다.
      이 때 원형기포관의 기포가 중심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중심에 있는 경우 정상이다.
      기포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어긋나 있는 방향과는 반대의 위치에 있는 원형기포관조정나사를 느슨하게 해 기포가 중심에 오게끔 한다.
      3개의 조정나사의 단단히 죄는 힘이 동일하게 되게끔 나사를 조인다.
      ※주의! 3개중 1개라도 조임이 약하면 다시 원형기포관이 고장나는 원인이 된다.
      또, 너무 강하게 조이면 조정나사가 부러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조정을 할 때에는 갑자기 「조인다」는 하지말고 1개를 느슨하게 한 다음 다른 2개를 조이는 듯한 순서가 필요하다.
    • 3. 망원경십자선(초첨판)의 점검과 조정 초점판을 조정하기 위한 나사는 접안손잡이 근처에 있고 보통 카바로 씌워있어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점검·조정의 경우에는 카바를 떼낸 다음에 한다.

      세로십자선의 기울기 기계를 三脚위에 설치하고 정준한다.
      명확히 보이는 목표점을 세로십자선의 상측(A점)에 맞춘다.
      망원경미동 손잡이를 돌려서 목표점을 세로십자선의 하측(B점)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목표점이 세로 십자선을 따라 평행 이동하면 정상이다.
      세로 십자선에서 어긋나 이동한 경우에는 조정 핀을 사용해서 상하 어느쪽의 조정나사와 좌우 어느 쪽의 조정나사를 약간 느슨하게한다.
      플라스틱 또는 나무조각을 조정나사 아래의 좌금에 맞춰 가볍게 쳐서 초첨판을 회전 시키는 것을 가로 십자선의 기울기를 잡는다.
      5에서 느슨하게 한 조정나사를 조인다.
      다시 3,4을 반복해서 기울기를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조정을 한다.
    • 4. 구심의 점검과 조정

      측점위에 三脚을 설치하고 기계를 얹어 정준, 구심을 행한다.
      본체를 180˚회전하고 구심렌즈부를 엿보아 측점이 어긋나 있지 않는가를 확인한다. 어긋나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이다.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어긋난 량의 1/2를 정준나사로 수정한다.
      구심의 카바를 벗겨내 4개의 조정나사로 나머지 어긋나는 량을 수정한다.
      측점이 상(하)에 있는 경우는 히(상)의 조정나사를 느슨하게 해서 상(하)의 조정나사를 조인다.
      측점이 좌(우)에 있는 경우는 우(좌)의 조정나사를 느슨하게 해서 좌(우)의 조정나사를 조인다.
    • 5. 측거정수의 점검 개개의 기계는 구성부품의 특성 등에서 메이커로 조립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실제의 거리에 대해서 항상
      어떤 일정한 오차를 갖는다.
      이 일정한 오차를 測距정수(또는 기계정수)로 부른다. 이 오차는 메이커에서 출하되기 전체 최종점검사에서 제로가 되게끔
      조정되어 있고, 거의 변화는 없지만 만일 측정거리가 항상 같은 량의 오차를 포함할 경우나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는 경우는 이하의 순서로 확인한다.

      대충 100m의 거리인 평담한 장소를 찾아서 A점과 B점을 설치한다.
      AB선상의 대충의 중간지점에 C점을 설치한다.
      A점에 기계를 설치하고 AB의 거리를 측정한다.
      C점에 기계를 설치하고 AC와 CB의 거리를 측정한다.
      測距정수 K는, K=AC-(AB+CB)
      위의 3과 4의 순서를 2-3회 반복해서 K의 값이 測距정도보다 작은 것을 확인한다. 항상 클 경우는 메이커에 점검을 의뢰한다.
  • 거리측정원리

    • 1. 원리 광을 피측정치(측정되어지는 곳)에 놓여진 프리즘을 향해 방사하고, 광이 프리즘과 기계사이에서
      Deley된 양이 반사된 빛으로부터 측정되고, 그 값을 거리로 환산한다.
      EDM 들은 수 km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되고, 표시되도록 147㎑, 150㎑, 15㎒의 3개 주파수로 변조한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한다.

      3개의 주파수(147㎑, 150㎑, 15㎒) 중 하나가 CPU로부터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되고 변조된 광은 LED에 의해 방출된다.
      광은 프리즘으로 반사되고 돌아온다. 되돌아 온 광은 Amp에서 증폭: 신호를 크게한다. 혼합검파: 주파수 성분을 3㎑로 한다.
      파형정형: 주파수가 계속 신호로 바꾼다.

      기준신호(3㎑)와 측정신호(ME)를 비교해서, 그 위상차로부터 ST1, ST2 신호를 만들고, Counter Clock을 혼합하지 않고,
      Counter에서 Count하고 CPU로 읽는다.
      각각의 147㎑, 150㎑, 15㎒의 주파수 ① ~ ④의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모양의 표시기의 "C" 마크의 이동으로 나타내어 진다.
      각각의 주파수 계산결과를 CPU에서 결합해서 거리가 표시된다.

    반사프리즘원리

    • 반사프리즘은 광파거리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반드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관측점에 설치해서 광파거리계에서의 測距광을 광파거리계로 바꾸기 위한 것이다.
    • 1. 반사프리즘의 원리

      보통 평면경에서도 반斜거리계에서의 빛을 단순히 반사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설령 수M의 짧은 거리여도 빛을 광파거리계에 되돌리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반사프리즘은 수 KM에 미치는 장거리에 있어서도 또, 완전히 정대(測距광에 대해서 반사프리즘의 표면이 수직으로 향해있는 상태)해 있지 않아도 광파거리계에 測距광을 되돌리게 한다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림 5-14와 같이 입방체의 각의 부분을 잘라내는 형(3면직교)을 하고있다.
      반사프리즘은 광파거리계용만이 아닌 몸 가까운 곳에서도 사용되고 있고, 자동차나 저전거의 후방에 장치되어 있는 반사판도 작은 반사프리즘을 모은것이다.
      그림은 반사프리즘에 경사방향에서 측저광이 들어가고 같은 방향으로 반사된 것을 표시하는 그림이다. 三角刑 ABC는 프리즘 단면으로 ∠C가 90˚인 직각 삼각형이다.
      입사광 p1과 반사광 p2가 반사면과 닿는 점을 각각 M과 N으로 한다. 또, ML과 NL은 반사점 M과 N에 있어서 수선이다.
      MC와 LN, IM과 NC는 각각 평행이게 때문에 CMN = ∠LNP2 = ∠AMO1 = Θ2가 되고 반사광은 입사광의 방향으로 되돌아간다.
    • 2. 프리즘정수

      빛이 글라스 안을 통과할때의 속도는 공기중보다도 굴절률분 늦게 되고 광파거리계는 실제의 거리보다도 긴 거리를 표시한다.
      이 때문에 글라스 굴절률과 반사프리즘의 크기(광로의 기리)에서 결정되는 정수를 뺄 필요가 있다.
      게다가 반사 프리즘 정점이 측점의 연직선상에 있으면 프리즘(글라스)의 굴절률에 의한 補正만으로 정수는 결정되지만 실제로는 반사프리즘 전체의 구조상에서 프리즘 정점의 위치는 광학수구의 視準선에서 빗나가 있고 이 어긋난 부분도 가감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두가지 補正해야만 하는 정수가 프리즘 정수로 불리는 것으로 이 정수는 제품에 의해서 수 종류 있다.
      또, 동일 제품이어도 스페서를 착탈하는 것에 의해 프리즘 정수가 변경가능한 것이다. 광파거리계에서 거리 측정할때는 사용하는 반사프리즘의 프리즘정수와 기계에 입력되어 있는 프리즘 정수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그림에 있어서 프리즘 정수 P는 P = -(Hx(n-1)-d)이다. H: 프리즘의 높으, n: 프리즘(글라스)의 굴절률(약 1.5), d: 프리즘정점에서 회전중심(求心점상)까지의 거리
    • 3. 반사프리즘의 종류

      광파거리계에서 나오는 測距광은 원거리가 됨에 따라서 넓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반사프리즘은 되돌아오는 빛의 량이 준다.
      그래서 장거리의 거리측정은 복수의 반사프리즘을 이용한다. 반대로 100m 이하의 근거리에서는 폴(막대)과 원형기포관과 일체가 된 콤팩트반사 프리즘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망원경 탑재형이나 柱上탑재형의 사용방식에 대응하는 것처럼 반사프리즘과 타겟의 위치를 맞춘 것이 있다.

    방수성에 대하여

    • 측량기의 방수성은 일본 공업규격(JIS)의 [전기 기계 기구 및 배선재료의 방수시험 통칙]에 의한 분류에 의해서 표시되어져 있어서 아래의 그 방수 종류와 의미를 소개한다.
    • 방수성에 대하여
      보호동급 종류 의미
      0 - 무보호의 것
      1 방적 Ⅰ형 무연직으로부터 떨어져 오는 물방울에 의해서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
      2 방적 Ⅱ형 연직으로부터 15도의 범위에서 떨어져 오는 물방울에 의해서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
      3 방우형 연직으로부터 60도 범위의 강우에 의해서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
      4 방말(防沫)형 어떠한 방향으로부터의 물보라를 받더라도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
      5 방분류(噴流)형 어떠한 방향으로부터의 물의 직접 분류를 받더라도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
      6 내수형 어떠한 방향으로부터의 물의 직접 분류를 받더라도 내부의 물이 들어오지 않는 것
      7 방침형 정해진 조건으로 수중에 담가도 내부에 물이 들어오지 않는 것
      8 수중형 지정압력의 수중에 항시 담가도 사용할 수 있는 것
      - 방온형 상대습도 90%이상의 습기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

    레이져 기기 등급에 대하여

    • 측량기 방수성은 일본 공업규격(JIS)의 [전기 기계 기구 및 배선재료의 방수시험 통칙]에 의한 분류에 의해서 표시되어져 있어서 아래에 그 방수 종류와 의미를 소개한다.
    • 레이져 기기 등급에 대하여
      동급 의미
      1 인체에 장해를 주지않는 저출력의 것.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최대허용 노공량(最大許容 露光量; MPE)을 넘는 일이 없다.
      2 가시광(파장 400nm ~ 700nm)으로,
      눈의 깜빡임에 의해 눈이 보호되어질 수 있는 정도의 출력이하 (대개 1㎽이하)의 것.
      3A 쌍안경 등의 광학적 수단으로 빔 내 관찰을 하는 것은 위험하며,
      방출 레벨이 등급 2의 출력의 5배 이하 (대개 5㎽이하)의 것.
      3B 직접 또는 경면(鏡面)반사에 의한 레이저 광산의 폭로(暴露)에 의해서 눈의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지만,
      확산반사에 의한 레이저 광선에 폭로되더라도 눈의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은 없는 출력(대개 0.5W 이하)의 것.
      4 확산반사에 의한 레이저 광선의 폭로로도 눈의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출력(대개0.5W를 넘는다)의 것.
      피부의 장해나 화재를 방생시킬 위험성이 있다.
      최대허용 노광량(MPE)란?
      레이저 광에 의한 인체장해가 일어나는 확률이 50%인
      방사레벨을 레이저에 의한 상해(傷害)의 연구 데이터로부터 찾아내고,
      이것에 안전계수 1/10을 곱한 수치로 나타내어진다.
      MPE는 노광량을 관리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값을 가지고 안전과 위험을 확실히 구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저 기기의 안전기준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